2024.04.28 (일)

  • 구름조금속초15.5℃
  • 구름많음19.8℃
  • 구름많음철원22.1℃
  • 구름많음동두천21.1℃
  • 구름많음파주20.2℃
  • 구름많음대관령17.0℃
  • 구름많음춘천19.9℃
  • 구름많음백령도15.7℃
  • 구름조금북강릉16.5℃
  • 구름많음강릉17.2℃
  • 구름많음동해18.7℃
  • 구름많음서울20.7℃
  • 구름많음인천17.4℃
  • 구름많음원주20.1℃
  • 맑음울릉도18.9℃
  • 구름많음수원20.3℃
  • 구름조금영월20.0℃
  • 구름조금충주19.5℃
  • 구름조금서산20.7℃
  • 구름많음울진20.2℃
  • 구름많음청주19.1℃
  • 구름조금대전19.1℃
  • 구름많음추풍령21.0℃
  • 구름많음안동20.8℃
  • 구름많음상주19.4℃
  • 구름많음포항20.7℃
  • 구름많음군산18.6℃
  • 구름많음대구21.3℃
  • 구름많음전주21.5℃
  • 연무울산20.8℃
  • 구름많음창원22.0℃
  • 구름많음광주20.6℃
  • 흐림부산20.8℃
  • 흐림통영19.4℃
  • 구름많음목포19.1℃
  • 구름조금여수19.1℃
  • 구름많음흑산도18.1℃
  • 흐림완도20.7℃
  • 구름조금고창20.2℃
  • 구름많음순천21.9℃
  • 구름많음홍성(예)18.3℃
  • 구름많음17.7℃
  • 흐림제주20.3℃
  • 구름많음고산20.8℃
  • 흐림성산21.0℃
  • 구름많음서귀포21.7℃
  • 구름많음진주21.2℃
  • 구름많음강화18.5℃
  • 구름많음양평19.5℃
  • 구름많음이천19.5℃
  • 구름많음인제19.8℃
  • 구름많음홍천19.1℃
  • 구름조금태백24.4℃
  • 구름조금정선군20.7℃
  • 구름조금제천20.5℃
  • 구름많음보은17.8℃
  • 구름많음천안19.7℃
  • 구름많음보령20.4℃
  • 구름많음부여18.9℃
  • 구름많음금산17.9℃
  • 구름많음18.4℃
  • 구름조금부안19.6℃
  • 구름조금임실21.3℃
  • 구름많음정읍22.0℃
  • 구름많음남원19.7℃
  • 구름조금장수22.2℃
  • 구름조금고창군22.0℃
  • 구름조금영광군20.5℃
  • 흐림김해시20.8℃
  • 구름조금순창군20.5℃
  • 구름많음북창원22.0℃
  • 구름많음양산시22.4℃
  • 구름많음보성군21.3℃
  • 구름많음강진군21.2℃
  • 구름많음장흥21.7℃
  • 구름많음해남23.3℃
  • 구름많음고흥21.3℃
  • 구름많음의령군21.0℃
  • 구름많음함양군19.9℃
  • 구름많음광양시20.8℃
  • 구름많음진도군21.4℃
  • 구름많음봉화21.3℃
  • 구름많음영주20.9℃
  • 구름많음문경20.1℃
  • 구름많음청송군20.9℃
  • 흐림영덕18.8℃
  • 구름많음의성20.4℃
  • 구름많음구미20.8℃
  • 흐림영천20.4℃
  • 구름많음경주시22.3℃
  • 구름많음거창19.4℃
  • 구름많음합천20.7℃
  • 구름많음밀양20.5℃
  • 구름많음산청19.5℃
  • 흐림거제19.7℃
  • 구름많음남해20.4℃
  • 흐림21.7℃
[김성윤 칼럼] 선의의 비판자, 시대를 초월한 긴 여운(餘韻)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김성윤 칼럼] 선의의 비판자, 시대를 초월한 긴 여운(餘韻)

김성윤.jpg
▲김성윤 논설위원.

[세종온라인뉴스] 최적의 대안이나 결론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악마의 대변인(Devil’s advocate)’이라는 전략이 있다.

 

‘악마의 대변인’이란 기존 조직 시스템에 대하여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이다. 리더의 의사결정에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데도 서슴없이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들이다.

 

그런 사례를 든다면 가톨릭에서 성직자가 더 높은 직분으로 올라갈 때 후보의 결점이나 의심스러운 점이나 은폐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죄상이나 결점을 파헤치는 선의의 비판자다. 그 비판자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개개인의 지식수준을 보면 높은데도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끼리 모여서 내린 결정은 잘못된 판단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바로 집단 사고 함정 때문이다. 그렇기에 모두가 찬성할 때 합리적 반대 의견을 내고, 비판적 대안을 제시해 집단 사고의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런 장치가 있는 조직이나 기업은 일류요, 그런 장치가 있는 데도 활용하지 못한다면 이류요, 있는데 활용은커녕 배격한다면 삼류 기업이다.

 

미국 예일대 심리학과 교수이었던 어빙 재니스(Irving L. Janis)가 1972년에 출간한 '집단사고의 희생자들(Victims of Groupthink)' 중에서도 이점을 지적한 바 있다. “아무리 개인의 지식수준이 높아도 동질성이 짙은 사람들이 모이면 의사 결정의 질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에 관한 사례로 정권이 바뀌면 코드인사 논란이 반복되고 있다. 코드인사란 생각이나 경험이 비슷한 사람만 골라 쓰는 용인술을 가리킨다. 당연히 “끼리끼리 해 먹으면 일을 망친다”는 비판이 거세질 수밖에 없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그 때문에 건강한 기업일수록 메기가 필요한 것이다. 메기론은 고 이건희 삼성 회장의 1993년 신경영 선언 때 주창한 논리에서 기인하였다.

 

‘삼성 직원의 용어집’이란 내부 교육용 책자를 보면 “논에 미꾸라지를 키울 때 한쪽 논에는 미꾸라지만 넣고 다른 한쪽에는 미꾸라지와 메기를 넣어 키우면 어떻게 될까. 메기를 넣어 키운 쪽의 미꾸라지들이 훨씬 더 통통하게 살이 찐다. 메기에게 잡아먹히지 않으려고 항상 긴장한 상태에서 활발히 움직였기 때문에 더 많이 먹고, 더 튼튼해진 것이다.”

 

하지만 삼류 기업일수록 메기가 필요하지 않다. 자연히 허약해질 수밖에 없다. 다른 의견을 수용하지 못하는 집단은 삼류가 아닌 4류, 5류로 전락하기 쉽다.

세계적 투자가 ‘레이 달리오’는 반대 의견을 “애사심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까지 정의한 바 있다. 애사심이 없으면 반대하거나 비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상을 다르게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사물을 봅니다.

그들은 발명하고, 창조하고, 상상합니다.

우리는 이런 사람들을 위한 도구를 만듭니다.

누군가는 그들을 미친 사람으로 볼지 모르지만, 우리는 천재로 보기 때문입니다.

- 애플(Apple)의 다른 생각이라는 아래 광고의 번역이다.

 

There are people who see the world differently.

They see things in new ways.

They invent, create, imagine.

We make tools for these kinds of people.

Because while some might see them as the crazy ones, we see genius.

- 애플(Apple)의 Think different 광고

 

마치 네모난 구멍에 둥근 못을 박으려는 어이없는 사람들이 있다. 애플은 그들을 지지하고 품어 줄 수 있었기에 세계 일류가 될 수 있었다.

 

애플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 그것이 바로 애플의 본질이며 존재 이유이다. 그래서 애플은 세상을 다르게 보는 미치광이들을 품어 주었던 것이다. 그들이야말로 진정 살아 있는 존재들이요, 생동하는 존재로 보았다.

 

문재인 정부는 그 점을 소홀히 했기에 단임으로 끝나고 국민적 비판을 받고 있다.

 

세종대왕은 왜 어전회의 때마다 허조를 참석 시켰을까? 그는 꼬장꼬장하기로 악명(?)이 높은 인물이었다. 시시비비를 칼 같이 따지며 뭐 하나 그냥 넘어가는 것이 없는 깐깐함과 직설적인 성격을 갖춘 인물이었다. 

 

세종은 그를 통해 대신들의 집단 사고 병폐를 경계하였다. 그런 성군이기에 그가 타계한 지 700년이 지난 지금도 조선의 가장 위대한 성군으로 남아 있다.

 

존 스튜어트 밀은 '자유론'에서 “어느 시대의 악은 시대를 거치며 선이 되기도 한다.”고 했다. 내가, 우리가 옳다는 주장이나 생각이 항상 '절대 가치'를 이어 갈 수는 없는 일이지 않은가?

 

그 이유는 대략 3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때문이다. 사회는 한 순간도 지체하지 않고 변화하고 발전한다. 따라서 과거에 옳다고 여겨졌던 주장이나 생각이 현재에는 더 이상 옳지 않다고 여겨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여성의 교육이나 사회 참여가 부정적으로 여겨졌지만, 현재에는 여성의 권리와 평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옳다고 여겨지고 있다.

 

둘째 새로운 정보와 지식의 등장 때문이다.

 

새로운 정보와 지식이 등장하면 기존의 주장이나 생각이 옳지 않다는 것이 밝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지구가 평평하다고 여겨졌지만, 새로운 지리학적 지식의 등장으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주관적 판단의 개입 때문이다.

 

우리의 주장이나 생각이 항상 객관적일 수는 없다.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면 옳다고 생각했던 주장이나 생각이 잘못된 것으로 밝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자살이 죄악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은 자살이 개인의 선택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가 옳다고 생각하는 주장이나 생각이 항상 '절대 가치'를 이어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이 등장하면서, 그리고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면서 우리의 주장이나 생각이 옳지 않다는 것이 밝혀질 수도 있다.

 

바로 문재인 정부 시절 이념·정서·경험을 공유했던 분들이 저지른 탈원전, 소득주도성장 정책, 사회 갈등 조장, 부동산 정책 실패 등의 오류는 아직도 치유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우리의 주장이나 생각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므로, 항상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받아들이고, 주관적 판단을 경계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더불어 민주당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집된 집단은 자기 과신과 폐쇄성에 매몰되어 집단 사고의 위험에 빠질 수밖에 없다. 

 

10명의 우수한 엘리트로 구성된 집단보다 100명의 일반인 집단 판단이 나을 수도 있다. 이를 반영하고 실천해 가는 것이 올바른 정치요, 민주주의가 아닐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