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맑음속초17.7℃
  • 흐림22.2℃
  • 흐림철원18.9℃
  • 구름많음동두천23.6℃
  • 구름조금파주22.5℃
  • 구름많음대관령13.3℃
  • 구름많음춘천22.3℃
  • 맑음백령도20.4℃
  • 구름많음북강릉16.5℃
  • 구름많음강릉17.9℃
  • 구름많음동해17.2℃
  • 맑음서울23.9℃
  • 구름조금인천20.9℃
  • 흐림원주21.5℃
  • 구름조금울릉도15.5℃
  • 구름조금수원22.9℃
  • 흐림영월19.8℃
  • 구름많음충주24.6℃
  • 구름조금서산24.0℃
  • 흐림울진17.2℃
  • 구름조금청주24.9℃
  • 구름많음대전24.2℃
  • 구름많음추풍령23.1℃
  • 흐림안동18.9℃
  • 구름많음상주24.0℃
  • 흐림포항18.3℃
  • 구름조금군산22.6℃
  • 흐림대구21.4℃
  • 구름조금전주23.5℃
  • 흐림울산18.2℃
  • 구름많음창원20.4℃
  • 구름많음광주24.6℃
  • 구름많음부산19.9℃
  • 구름많음통영21.0℃
  • 구름많음목포20.4℃
  • 흐림여수21.8℃
  • 구름많음흑산도21.0℃
  • 구름많음완도23.6℃
  • 구름조금고창24.1℃
  • 구름많음순천23.2℃
  • 구름많음홍성(예)23.3℃
  • 구름조금22.9℃
  • 구름많음제주22.3℃
  • 구름많음고산20.4℃
  • 구름많음성산22.9℃
  • 구름많음서귀포23.7℃
  • 구름많음진주24.5℃
  • 맑음강화20.5℃
  • 흐림양평23.4℃
  • 흐림이천24.0℃
  • 구름많음인제19.0℃
  • 구름많음홍천21.8℃
  • 흐림태백13.8℃
  • 흐림정선군18.8℃
  • 흐림제천20.7℃
  • 구름많음보은23.2℃
  • 구름조금천안24.0℃
  • 구름많음보령20.6℃
  • 구름많음부여24.8℃
  • 구름조금금산22.8℃
  • 구름많음23.7℃
  • 맑음부안22.5℃
  • 구름많음임실23.0℃
  • 구름조금정읍24.4℃
  • 구름많음남원24.2℃
  • 구름많음장수21.2℃
  • 구름조금고창군23.7℃
  • 구름조금영광군22.5℃
  • 구름많음김해시20.3℃
  • 구름많음순창군23.9℃
  • 구름많음북창원23.0℃
  • 구름많음양산시20.8℃
  • 구름많음보성군25.9℃
  • 구름많음강진군24.6℃
  • 구름많음장흥24.3℃
  • 구름많음해남22.5℃
  • 구름많음고흥25.8℃
  • 구름많음의령군24.1℃
  • 구름많음함양군25.5℃
  • 구름많음광양시25.4℃
  • 구름많음진도군20.9℃
  • 흐림봉화17.2℃
  • 흐림영주18.1℃
  • 흐림문경21.4℃
  • 구름많음청송군18.2℃
  • 구름많음영덕17.1℃
  • 흐림의성22.1℃
  • 구름많음구미24.6℃
  • 흐림영천18.7℃
  • 흐림경주시19.4℃
  • 구름많음거창23.5℃
  • 구름많음합천26.4℃
  • 흐림밀양21.9℃
  • 구름많음산청25.1℃
  • 구름많음거제21.0℃
  • 구름많음남해22.8℃
  • 구름많음20.8℃
[세종광장] 백로와 같은 정치인을 기대하는 것이 가능할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세종광장] 백로와 같은 정치인을 기대하는 것이 가능할까?

임홍순.png
▲임홍순 논설위원.

[세종온라인뉴스] 저수지 산책을 나서는데 백로가 정중동(靜中動)이다. 명경지수 물 위에서 집중하고 있는 백로를 보면서 세속의 욕심을 돌아본다.

 

"까마귀 싸호는 골에 백로(白鷺)야 가지 마라. 셩낸 까마귀 흰빗츨 새올세라. 청강(淸江)에 죠히 씨슨 몸을 더러일가 하노라"

 

포은 정몽주 선생이 태종 이방원이 초대한 연회에 나가려 하자 어머니가 이를 경계하며 지었다고 하며 팔순의 노모께서 간밤의 꿈이 흉하다고 문밖까지 따라 나오면서 이 노래를 불러 공이 가는 것을 말렸다고 전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작자 미상이라고도 한다.

 

근묵자흑(近墨者黑), 즉 ‘검은 것을 가까이하다 보면 자신도 검게 물든다.’로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와 함께 쓰인다..

 

반면 조선 개국공신 이직 시조도 있다. "가마귀 검다하고 白鷺(백로)야 웃지 마라, 것치 거믄들 속좃차 거믈소냐. 것 희고 속 거믄즘생은 네야 하노라"

 

우리가 일반적으로 백로는 ‘바름, 정의, 선(善)’으로 표현하며 까마귀는 ‘그름, 부정, 악’으로 흔히 표현한다.

 

그러나 겉이 하얀 백로는 속살이 검고 겉이 검은 까마귀는 속살이 백색이라 한다. 이렇게 겉과 속이 다른 이중성에 절대 속지 말아야 할 것이다.

 

윤석열 신정부 출범 준비, 국회 다수당의 검수완박, 정치권의 지방선거 전략공천, 네거티브 선거운동 등 나라 전체가 온통 시끄럽다.

 

그러기에 정치에 발 담그는 것을 진흙탕 싸움이라 하며 오죽하면 옛 선현들은 고고한 선비를 백로라 칭하며 까마귀 곁에 가지 말라고 경계하기도 했다.

 

정치인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치에 입문하기만 하면 마음이 음흉한 겉과 속이 다른 양의 탈을 쓴 늑대와 같이 변한다고 하여 표리부동(表裏不同)의 표본이라고 까지 했을까?

 

내로남불 유유상종 패거리 집단으로 변하여 민생보다 힘의 논리에 의한 아귀다툼의 전장터로 만들어 가는 것을 보면서 많은 이들이 환멸을 느낀다.

 

순자 왕제(王制) 편에 재주복주(載舟覆舟)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수소이재주(水所以載舟) 역소이복주(亦所以覆舟)로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지만 배를 뒤집기도 한다.”는 뜻이다. 물의 양면성을 뜻하는 것으로 물은 민심이고 배는 정치인들을 말한다.

 

그래서 정치 지도자들은 항상 민심인 물을 두려워할 줄 알아야 한다. 자기에게 주어진 권력을 조자룡 헌칼 휘두르듯 잘못 사용할 때는 큰 곤혹을 치를 수밖에 없다.

 

또한, 명심보감에 ‘유세막사진(有勢莫使盡) 세진원상봉(勢盡寃相逢)’이라고 나온다. “세력이 있다고 함부로 부리지 말라. 세력이 다하면 원통한 이와 서로 만나게 된다”는 뜻이다.

 

정치인들이 늘 가슴에 새겨두고 지표로 삼아야 할 말이다. 권력의 특성상 내 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끼리만 어울리면서 이득을 나눠 먹지만 아무리 어둠속에서 작당을 할지라도 결국에는 백주에 다 드러나게 되는 것이 세상의 이치이기 때문이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 되는 게 비일비재(非一非再)한 세상이다. 늘 ‘바름, 정의, 선(善)’의 백로 같은 바른 마음과 행동만이 혼탁한 세상에서 고고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정치인들이 ‘그름, 부정, 악’의 구렁텅이 속으로 자꾸 빠져들지 않기를 바라고 또 바랄 뿐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